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규식 연산
- 뷰
- coalesce
- dom
- window 함수
- 코드 스니펫
- ROLLUP
- SQL
- show graph characteristics
- 정보처리기사
- Oracle
- SQLD
- searched case expression
- list multiplication
- git
- Node.js
- simple case expression
- execute immediate
- dense rank
- html
- MYSQL
- JavaScript
- GROUPING
- 기업 협업
- 위코드
- 문법 차이
- 자료구조
- 비절차적 데이터 조작어
- python
- sql 저장 모듈
- Today
- Total
프로그래밍 숲
비전공자 SQLD 합격 후기 & 공부법 후기 본문
접수 배경
저는 비전공자(토목공학과) 출신으로 6월 10일에 시행된 제 49회 SQLD 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하였습니다. 개발자는 자격증보다는 다른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굳이 자격증을 딸 생각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교육 받고 있는 KDT(K-Digital Training) 과정의 다른 많은 동기들도 이 시험을 볼 예정이라길래 그렇다면 나도 한 번 봐봐야겠다 하고 휩쓸리듯 신청을 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그렇게 어려운 시험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어서 지원한 것도 있습니다.
기본 스펙
접수할 당시의 저의 스펙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비전공자이고, 프로그래밍 경력은 23년 6월 기준으로 6개월 정도입니다. 저는 위코드라는 사설 부트캠프에서 백엔드 과정 3개월 동안 mysql를 활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어느정도 접했기 때문에 완전히 새롭기만 한 내용은 아니었습니다.
준비 과정
저는 9 to 6으로 KDT(K-Digital Training) 과정을 오프라인으로 교육 받고 있어서 시간이 많은 편이 아니었습니다. 프로젝트 위주로 진행되는 교육이라 정규 교육 시간 외에도 시간을 많이 쏟아야 했기에 저에게 시간은 더더욱 부족했습니다. 3주 전부터 공부 시작은 했으나, 평일 저녁 시간대와 주말도 100% 온전히 공부에 쏟지는 못했습니다.
공부는 노랭이라고 불리우는 국민 책으로 진행했습니다.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 한국데이터진흥원 - 교보문고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는 국가공인 SQL 전문가 및 국가공인 SQL 개발자 자격시험 대비 수험서로 SQL 전문가 가이드에서 다루고 있는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SQL기본 및 활용,
product.kyobobook.co.kr
다른 책은 안보고 이 책만 빠르게 3회독 하고 시험을 보러갔습니다. 1회차는 문제를 풀었다기 보다는 문제와 정답을 훑으면서 빠르게 넘어갔습니다. 그렇게 2회독, 3회독까지 진행했습니다. 노랭이 책의 문제 수가 그렇게 많지는 않아서 3회독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또 답지를 봐도 이해가 잘 안가는 부분들은 "데이터 전문가 포럼"이라는 네이버 카페에서 많은 도움을 받아가며 해결했습니다.
데이터 전문가 포럼 (빅데이터분석기사... : 네이버 카페
빅데이터분석기사, ADP, ADsP, SQLP, SQLD, DAP, DAsP, 자격증 취득 등 데이터 전문가 커뮤니티입니다.
cafe.naver.com
책을 3회독 한 후에는 카페와 인터넷에 있는 1과목 문제 복원을 찾아서 풀어보았습니다. 저는 1과목 4~5회차 정도만 가볍게 풀어보고 시험에 응했습니다. 확실히 1과목은 이론적이고 지엽적인 문제가 출제되다 보니까, 많이 접해보고 가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과목 별 공부 tip
1과목(데이터 모델링의 이해)은 문제가 어렵다기 보다는 개념적인 문제가 많아서 노랭이 책으로 공부를 할 때 3회독을 빠르게 돌리고 최신 기출 복원 문제를 찾아서 공부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노랭이 책 자체가 예전에 나오고 개정이 많이 안됐다보니 최신 문제 유형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2과목(SQL 기본 및 활용)은 처음에는 매우 고되지만, 원리를 이해하고 나면 두 번째, 세 번째, 회독이 반복될 수록 점점 금방 풀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2과목 같은 경우는 노랭이 책 보다는 실제 시험이 더 난이도가 쉬운 편이기 때문에 너무 걱정은 안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역시나 2과목도 책에 없는 유형이 출제되다보니 시간적 여유가 되시는 분들은 최신 기출 복원을 찾아보고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어떤 시험이던간에 항상 기출문제를 먼저 풀면서 공부하는게 올바른 시험 공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개념을 공부하는 것이라면 이론 공부를 해야겠지만, 시험을 위한 공부라면 문제를 먼저 풀면서 모르는 부분만 찾아가며 채워가는 방식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적 여유가 되시는 분들이라면 개념 공부와 문제 풀이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치며
다들 단기간에 많이 합격하는 자격증 시험이다 보니 공부하면서도 확실히 부담이 덜했습니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름 자격 시험은 여러번 봤기 때문에 (IT 관련 자격증은 아니지만) 공부 방법에 대한 부담감도 없기도 했습니다. 앞으로 SQLD를 준비하시는 분들 중 걱정이 많이 되시는 분들이라면 적정한 시간만 투자해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시험이라고 생각하기에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개발, 인생, 생각 >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코드(wecode) 부트캠프 기업협업 및 최종 후기 · 회고 (23.3.13.~23.4.6.) (0) | 2023.07.02 |
---|---|
위코드(wecode) 부트캠프 2차 프로젝트 후기 · 회고(23.2.25.~23.3.10.) (0) | 2023.06.22 |
위코드(wecode) 부트캠프 1차 프로젝트 후기 · 회고(23.2.4.~23.2.17.)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