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숲

SQL HAVING절 예시로 알아보기 본문

프로그래밍_인포/데이터베이스&SQL

SQL HAVING절 예시로 알아보기

jjscript 2023. 6. 6. 09:56
728x90
반응형

SQL의 'HAVING' 절은 그룹화된 결과에 적용되는 조건을 기반으로 쿼리에서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검색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GROUP BY 절과 함께 사용됩니다. 하지만 GROUP BY 및 집계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HAVING 절을 사용하였다고 하여 SQL 문장이 오류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HAVING 절을 이해하기 위해 "Orders"라는 가상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이 테이블에는 고객 ID, 주문 금액, 주문 날짜 등 고객이 주문한 다양한 주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고객의 총 주문 금액 중 총 주문 금액이 특정 값(예: $1000)을 초과하는 고객만 필터링하는 것으로 가정해봅시다. HAVING 절을 사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데이터만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SELECT customer_id, SUM(order_amount) AS total_amount
FROM Orders
GROUP BY customer_id
HAVING total_amount > 1000;

이 쿼리에서는 customer_id 칼럼을 선택하고 SUM() 함수를 사용하여 order_amount 칼럼의 합계를 계산합니다.

'GROUP BY' 절은 결과를 'customer_id'로 그룹화합니다.

그런 다음 'HAVING' 절을 사용하여 'total_amount'가 1000보다 큰 결과만 포함하여 그룹화된 결과를 필터링합니다.

 

요약하면 'HAVING' 절을 사용하면 집계 함수(예: 'SUM', 'COUNT', 'AVG' 등) 또는 여기에서 파생된 표현식을 기반으로 그룹화된 쿼리의 결과를 필터링하기 위한 조건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